728x90
반응형
출처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0885185
*해당 글은 학습을 목적으로 위의 도서 내용 중 일부 내용만을 요약하여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상세한 내용 및 전체 내용 확인을 원하신다면 도서 구매를 추천드립니다.
분석 작업 개요
- 분석 작업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전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또한 데이터 처리 영역과 데이터 분석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영역 | 데이터 분석 영역 | ||||
데이터 소스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저장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표현 |
- 데이터 처리 영역은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 정의 및 수집/저장/분석을 위한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 데이터 분석 영역은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목적과 방법에 맞게 가공 후 분석을 직접 수행하여 결과를 표현하는 영역이다.
데이터 확보 계획
- 먼저 아래의 사항들을 검토해야 한다.
- 필요 데이터 정의 / 보유 데이터의 현황 파악 / 분석 데이터 유형 / 데이터 규모 및 편향 여부 / 내부 데이터 사용 / 외부 데이터 수집
- 그 후 활용 시나리오에 적합한 데이터의 유형 및 분석 변수를 정의한다.
- 분석 대상에 대해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분석 변수 생성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사실 기반 / 상관 분석 등)
- 생성된 분석 변수의 정제를 위한 점검 항목을 정의한다. : 이 과정은 도출된 데이터에 대해 가용성을 평가하고 점검항목을 정의하는 과정이다.
- 생성된 분석 변수의 전처리 방법을 수립한다. : 논리적 모형 설계를 위한 데이터 전처리 방법을 수립한다.
- 생성 변수의 검증 방안을 수립한다. : 정확성보다는 데이터의 양이 충분한지에 대한 충분성 개념하에 검증한다.
- 데이터 검증 체계를 수립한다 : 출처가 명확한지, 중복된 데이터가 없는지 등
분석 절차와 작업 계획
- 분석 절차는 데이터 분석의 시발점이 되는 문제 인식부터 결과 도출 및 제시의 단계까지 일반적인 과정을 정형화한 프로세스이다.
- 일반적으로 문제 인식 > 연구조사 > 모형화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 분석 결과 제시 순서로 진행된다.
- 하지만 상황에 따라 단계의 추가 및 생략도 가능하다.
- 이 떄 고려해야할 사항은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만약 없으면 데이터 분석을 시도한 후 결과를 확인해나가며 반복적으로 개선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 작업 계획은 분석 절차에 따라 데이터 분석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작업 내용들을 세부적으로 정의하는 과정이다.
- 분석목표정의서는 문제의 개선 방향에 맞는 현실적인 분석목표를 수립하여 필요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나 분석 타당성 검토 및 성과측정 방법 등을 정리한 정의서이다.
- 구성 요소로는 원천 데이터 조사 / 분석 방안 및 적용 가능성 판단, 성과 평가 등이 있다.
- 이 때 성과평가의 기준은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정성적 평가, 기존 방법 대비 효과의 증감 비율을 평가한 정량적 평가가 있다.
분석 프로젝트 관리
- 분석 프로젝트는 과제 형태로 도출된 분석 기회를 프로젝트화하여 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수단이다.
- 특징으로 데이터 영역, 비즈니스 영역에 대한 이해와 분석 프로세스의 특성을 이해하여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 여기서 분석가는 데이터 영역과 비즈니스 영역의 중간에서 현황을 이해하고 조정자의 역할과 프로젝트 관리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분석 프로젝트에서 주요 관리 항목 영역은 아래와 같다.
- 범위 관리
- 일정 관리
- 원가 관리
- 품질 관리
- 통합 관리
- 조달 관리
- 인적자원 관리
- 위험 관리
- 의사소통 관리
- 이해관계자 관리
1. 데이터 확보 계획 수립 시 분석 변수 점검항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다양성
2) 데이터 가용성
3) 데이터 적정성
4) 기술적 타당성
1
2. 일반적인 데이터 분석 절차는 다음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 ) > ( ) > 모형화 > 데이터 수집 > 데이터 분석 > 분석 결과 제시
문제 인식, 연구조사
3. WBS 수립 절차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프로젝트 소요비용 배분
2) 프로젝트 작업분할구조 수립
3) 프로젝트 정의서 작성
4) 프로젝트 업무 분장 계획 및 배분
3
4. 분석목표정의서 성과평가 기준 중 정성적 평가와 관련된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분석 기법이나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2) 신규 데이터나 외부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3) 세분화나 군집화를 통한 집단을 선정한다.
4) 분석 특성에 따라 자체 KPI에 대한 성과를 측정한다.
4
728x90
반응형
'자격증 > 빅데이터 분석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데이터 수집 및 저장 계획_데이터 적재 및 저장 (0) | 2022.03.17 |
---|---|
1-3. 데이터 수집 및 저장 계획_데이터 수집 및 전환 (0) | 2022.03.16 |
1-2. 데이터 분석 계획_분석 방안 수립 (0) | 2022.03.13 |
1-1. 빅데이터의 이해_빅데이터 기술 및 제도 (0) | 2022.03.12 |
1-1. 빅데이터의 이해_빅데이터 개요 및 활용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