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출처
강의 자료 : https://cp.kiot.or.kr/main/index.nx
문제 : https://www.kinz.kr/exam/223497
IoT 비즈니스 모델
-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기존 B2B 서비스에서 B2C 서비스 뿐 아니라 사람 또는 사물의 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기지털 기반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했다.
- 이에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2011년부터 하이퍼 사이클에 사물인터넷을 포함시켜, 5~10년 사이 주류 기술로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전망했다.
- 또한 CERT-IoT는 전략적 연구 과제인 IoT를 통해 그동안의 비즈니스, 정보, 사회적 프로세스를 바꿈으로써 그간 없던 가능성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했다.
사물인터넷 생태계
Fransman의 6계층 생태계 계층 모델
- ICT 생태계와 관련한 연구로, 6개의 계층으로 구분된 생태계 계층 모델로 분석하였다.
- 이후 6계층 모델을 단순화하여 4계층 모델을 주장하였다.
구분 | 기능 | 포함 산업 |
6 계층 | 최종 소비 | |
5 계층 |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 음악, 영상 등 |
4 계층 | 미들웨어 | 인터넷 브라우저, 검색, 보안 솔루션 |
3 계층 | 연결성 | isp 등 접속 산업 |
2 계층 | 네트워크 운영 | 유무선 통신, 케이블 tv, 위성 |
1 계층 | 네트워크 요소 | 소비자가전, 부품, 소프트웨어 |
구분 | 기능 |
4 계층 | 최종 소비 |
3 계층 | 콘텐츠 어플리케이션, 서빗, 플랫폼, 검색, 네이게이션, 미들웨어 |
2 계층 | 네트워크 운영 |
1 계층 | 네트워크 요소 |
사물인터넷 생태계의 핵심요소
- 사물인터넷의 경우 물리적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다는 것이 본질이다.
- O. Mazhelis는 이를 위한 기술적 핵심 부분은 상호연결을 위한 표준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플랫폼이라고 주장했다.
- 즉, 사물인터넷 생태계는 핵심 자산의 공통세트를 통해 협력 및 경제하는 사회-경제 환경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회사와 개인들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사물인터넷 비즈니스모델 설계
TISSUE 모델 (테크노 비즈니스 통합분석 모델)
- 연세대학교 산업경쟁력연구실에서 비즈니즈에 대해 경영학의 전략과 시장의 분석 관점을 설명하고, 기술의 테크노 비즈니스 3대 컴포넌트를 6개로 세분화하였다.
컴포넌트 | 정의 |
기술 | 기술의 사업화 과정에서 필요한 주요 기술 분석과 기존 비즈니스의 개선을 위해 수행하는 기술분석 기법 |
산업 | 기술에 해당되는 산업을 대상으로 산업 내 환경특성을 분석하는 기법 |
전략 | 비즈니스 전략 수립에 필요한 분석 및 기존 비즈니스의 새로운 전략 방향 설정을 위해 필요한 분석기법 |
서비스 | 기술이 서비스 혹은 제품으로 변환되며 요구되는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
사용자 | 테크노 비즈니스의 제공 대상이 되는 시장 및 고객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고객 정의 및 요구사항 도출 기법 |
환경 | 비즈니스 저해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비즈니스 환경의 외부적 요인에 대한 영향, 효과 및 리스크를 분석하는 기법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 Osterwalder와 Pigneur이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도서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회사가 고객니즈에 맞는 제품, 서비스를 어떻게 만들고 전달하여 수익을 창출하겠다는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정의했다.
- 즉,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창출 및 수익 창출 과정을 도면으로 보여주었다.
- VP(가치 제안)을 기준으로 왼편의 블록들은 효율성이 강조되며, 오른편은 가치 중심의 요소이다.
블록 | 정의 | 블록 | 정의 | |
Key Activity | 기업이 비즈니스를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일 | Customer RelationShip | 특정한 고객과 어떤 형태의 관계를 맺을 것인가를 의미한다. | |
Key Partnerships | 비즈니스 모델을 원활히 작동시켜줄 수 있는 공급자-파트너 네트워크 | Customer Segment | 기업이 제각기 얼마나 상이한 유형의 고객을 겨냥하는지를 규정한다. | |
Key Resources | 비즈니스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중요 자산 | Value Proposition | 특정한 고객이 필요로 하는 가치를 창조하기 위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조합 | |
Cost Structure | 비즈니스 모델의 여러 요소를 수행하기 위한 요소 | Channel |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제안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법 | |
- | - | Revenue Stream | 기업이 각 고객들로부터 창출하는 현금 |
5-Force 모델
- Michael E.Porter에 의해 발표된 산업구조분석 기법.
- 한 기업이 속해있는 특정 산업의 경쟁 질서를 결정하는 다섯 요인에 대해 설명하는 모델이다.
- Porter와 J.Heppelmann이 사물인터넷 시대에 필요한 전략을 개발하고 경쟁 우위를 실현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와 새로운 기술 스택을 제시했다.
- 구매자 교섭력 요인 : 가격 이외의 부분으로 경쟁의 초점 이동
- 경쟁기업 간 경쟁 관계 : 차별화와 부가가치 서비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경쟁 구조 타파
- 신규 진입 위험
- 대체상품의 위협
- 공급자 교섭력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중 하나인 'TISSUE 모델'의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술 (Technology)
2) 사용자 (User)
3) 구조 (Structure)
4) 서비스 (Service)
3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설계 중 TISSUE 모델(테크노 비즈니스 통합분석 모델)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술 : 비즈니스 모델 구현에 필요한 주요 기술과 활용 방안
2) 산업 : 비즈니스 모델에 포함되는 산업 환경과 협력 구조를 분석
3) 서비스 : 비즈니스 모델 제품이 전달하는 가치나 제공되는 서비스
4) 사용자 : 비즈니스 모델 구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요인
4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의 제공자에 따른 분류로 IoT player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제품(Product) 제공자
2) 기술(Technology) 제공자
3) 플랫폼(Platform) 제공자
4) 서비스(Service) 제공자
2
Fransman은 비즈니스 생태계 중 ICT 생태계를 기본적인 계층 모델로 6개의 계층(‘네트워크 요소, 네트워크 운영, 연결성, 미들웨어, 콘텐츠ㆍ애플리케이션ㆍ서비스, 최종소비’)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ICT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기존 모델을 4개의 계층 모델로 단순화 하였는데 단순화 된 4개의 계층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성
2) 네트워크 요소
3) 네트워크 운영
4) 최종소비
1
728x90
반응형
'자격증 > IoT 지식능력검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가과목_사물인터넷과 자율주행 (0) | 2021.10.25 |
---|---|
5.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모바일 및 지능정보기술 (0) | 2021.10.25 |
4.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0) | 2021.10.18 |
3.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0) | 2021.10.17 |
2. 사물인터넷 플랫폼 (0) | 2021.10.17 |